카테고리 없음
34. TIL) 스마트 팜 팀 프로젝트(3)
kaseomi
2025. 2. 6. 20:30
728x90
1단계
개화수준, 착과수준, 수확중 화방수준의 수준을 높이는데 필요한 환경 정보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상관분석
가설1(상관계수가 높게 나왔을 때) : 계수가 높은 인자가 높아지면 1등급 토마토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다.
가설2(상관계수가 낮게 나왔을 때) : 적절한 환경조건을 맞춰주어야 1등급 토마토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다.
2단계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의 선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캐터플롯을 사용
선형성이 확인된 요인을 대상으로 t검정 또는 anova 실시
가설 : 해당 환경정보가 변함에 따라 생육정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단계
해당 환경정보의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머신러닝을 실시
결론적으로 최적조건을 적용하면 1등급 토마토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다.
4단계
이후 비용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 정보와 환경정보 요인의 상관분석을 실시
=> 상관계수가 높게 나온 에너지 요인을 찾아냄 => 그 에너지 요인이 환경정보 요인에 영향을 많이 준다는 의미
현재 진행상황
2단계 절반까지 한 듯, 피피티 제작과 함께 하니까 틀은 잡히긴 해서 좋다